[공지] openNAMU 계정 이전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.

the tree/설치 방법 (r2)

해당 리비전 수정 시각:
권한 부족
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. 로그인된 사용자(이)여야 합니다. 해당 문서의 ACL 탭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대신 편집 요청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.
알림
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.
[주의!] 문서의 이전 버전(에 수정)을 보고 있습니다. 최신 버전으로 이동
파일:상위 문서 아이콘.svg 상위 문서: the tree
1. 시작하기 전
1.1. 주의 사항1.2. 환경
2. 설치 방법
2.1. node.js2.2. MongoDB2.3. Meilisearch2.4. 엔진 설치
3. 마지막

1. 시작하기 전[편집]

1.1. 주의 사항[편집]

  • the tree는 기존 상용 위키 엔진과 다르게 설치 방법이 많이 복잡한 편이다.
  • 그렇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해당 엔진을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게 가이드라인을 작성하는 문서가 이 문서이다.
  • 설치법이라는 것은 운영체제에 따라 많이 다를 수 있고, 프로그램 버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중간에 막힌다고 개발자나 타 위키 운영자에게 무작정 문의하지 말고 일단 찾아보고 help할 것.

1.2. 환경[편집]

  • the tree는 서버 자원을 꽤 먹는 프로그램이다. 그렇기 때문에 권장 사양은 다음과 같다.
    • 램 4GB 이상일 것.
      • 검색 서버와 DB가 idle 상태[1] 기준 각각 500MB 언저리임. 당연히 위키 엔진이나 운영 체제까지 돌리려면 아무리 못해도 2GB는 넘어야 한다.
    • CPU 성능은 좋으면 좋을 수록 좋음.
      • DB에서 문서를 불러오는 속도, 검색 성능에 영향을 미침.
  • 본 문서에서 작성하는 설치 방법은 다음 환경과 같다.
    • Ubuntu 24.04.1 LTS
    • x86

2. 설치 방법[편집]

  • 시작하기 전에 apt 업데이트
sudo apt update
sudo apt upgrade -y

2.1. node.js[편집]

  • 엔진을 굴리긴 위해서는 node.js를 설치하여야 한다.
sudo apt install nodejs npm
  • 해당 명령어로 설치가 되었나 확인할 것.
nodejs -v
  • nvm으로 20 버전 설치.
nvm install 20
  • node.js 버전 관리 n도 있으니 참고.
  • 위키 엔진 재시작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pm2 설치
npm install pm2 -g

2.2. MongoDB[편집]

  • 위키 엔진의 DB 설치
  • apt는 업데이트가 느리기 때문에 apt로 설치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음.
  • MongoDB 메뉴얼은 한국어로 친절히 작성되어 있고, 명령어가 바뀔 수도 있기 때문에 공식 문서를 참고할 것.
  • 설치하였다면 계속하기
sudo systemctl status mongod //MongoDB 실행 중인지 확인
mongosh //MongoDB 접속
  • DB 생성하고 DB에 접속할 user 만들기
use test123 //test123 DB 생성 및 접속
db.createUser({ user: "test01", pwd: "mypassword", roles: [ "readWrite" ]}) //test01 계정으로 mypassword 비밀번호로 readWrite 권한으로 계정 생성
db.getUsers(); //생성된 User 확인
  • 만약 계정 생성이 되지 않는다면,
vi /etc/mongod.conf //MongoDB 설정 파일 vi로 열기
security: //주석 제거후
authorization: enabled //추가

2.3. Meilisearch[편집]

2.4. 엔진 설치[편집]

git clone https://github.com/wjdgustn/thetree //엔진 git으로 불러오기
npm i // 라이브러리 다운로드하기

3. 마지막[편집]

[1] 가만히 있을 때를 말함.



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-SA 4.0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자세한 내용은 다올위키 라이선스 정책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
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,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.

오픈 소스가 아닌 다올위키의 고유한 디자인을 무단으로 도용하는 것과, 운영 문서를 포함한 모든 문서를 라이선스를 지키지 않고 무단으로 가져가는 행동은 저작권 위반이며 법적 책임을 물 수 있습니다.